[오산 죽미령 평화공원] 05
남 · 북한의 전력차이
Difference in Military Strangth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6 · 25전쟁 직전 남 · 북한의 전력은 미 · 소의 한반도에 대한 정책의 차이로 인하여 현격하게 차이가 났다. 북한은 6 · 25전쟁 전까지 10개의 보병사단, 3개의 해군 위수사령부, 1개의 공군 비행사단 등 강력한 군사력과 무기체계를 갖추었다. 국군에는 단 한대도 없었던 소련제 T-34전차를 242대나 보유하고 있었던 북한군에 비해 국군은 적의 전차를 파괴할 수 있는 대전차 화기나 대공 화기를 제대러 갖추고 있지 않았다.
6 · 25전쟁 당시 남 · 북한 군사력 비교
Comparison of Military Forces of North and South Korea when the Korean War Broke out
구분 | 부대/병력 | 주요장비 | ||
남한 | 북한 | 남한 | 북한 | |
육군 | ● 8개 사단 ● 2개 독립연대 ● 기타 지원부대 등 94,974명 |
● 10개 사단 ● 4개 경비여단 ● 1개 전차여단 ● 기타 포병연대, 고사포연대, 공병연대 등 175,200명 |
● 곡사포 : 91문 ● 대전차포 : 140문 ● 박격포 : 960문 ● 로켓포 : 1,900문 ● 장갑차 : 27대 |
● 야포 : 565문 ● 대전차포 : 552문 ● 고사포 : 72문 ● 박격포 : 875문 ● T-34전차 : 242대 ● 자주포 : 186문 ● 장갑차 : 59대 ● 모터사이클 : 500대 |
해군 | 6,956명 | 10,297명 | ● 함정 : 36척 | ● 함정 : 115척 |
공군 | 1,897명 | 2,800명 | ● 연습/연락기 : 22대 | ● 전투기/전폭기/ 기타 : 226대 |
계 | 103,827명 | 188,297명 |
친구의 죽음
-중략-
우리는 더 이상 버틸 수 없어 철수명령을 받았고
나는 폴이 있던 언덕으로 단숨에 달려갔어.
포화 속에서 탈출로를 찾으며 언덕을 올랐을 때
참호 안에서 웃는 모습의 폴을 발견했지
말없이 서로를 부둥켜안은 우리는
마지막 남은 필립모리스 담배 하나를 반으로 잘라 나눠 피웠지.
진지에 적들이 가까워지자 우리는 참호보다 더 안전한 곳으로 달리기 시작했어.
산마루에 보이는 적군을 향해 사격을 시작할 때
폴은 포탄에 머리와 가슴을 맞았지
끔찍한 고통속에서······
죽음을 맞이하는 전우.
그 죽음 곁을 지키는 나.
신이시여!
어찌하여 이렇게 무서운 시련의 고통을 주려 하십니까.
친구의 눈물과 죽어가는 몸부림을 보며 가장 소중한 친구를 끌어안았네.
나의 전우, 나의 둘도 없는 친구, 나의 소중한 벗을···
친구의 창백한 얼굴엔 죽음의 가면이 드리워져 있었어.
나의 소중한 벗이 들이쉬는 마지막 숨소리를 들었네.
왜 하필 너여야 하니···· 내 친구야.
왜 내가 아닌거니·· 왜 나 대신에 네가 선택된 거니
아아, 죽음의 순간에도 강인했던 나의 친구 폴··
넌 나의 최고의 친구였어
내 삶도 그 뜨거운 7월에 그 언덕에서 함께 끝났어.
하지만 신에게 기도를 올릴 수 있게 된 것에 감사한다.
폴! 내 소중한 친구야
너를 위해 내가 할 수 있는 유일한 한 가지는
신이 나를 데려가는 그날까지 영원히 너를 위해 기도할 뿐··
7월 5일 첫 전투에서 전사한 친구 폴을 생각하며···
The Death of A Friend
-Omitted-
The Sergeant told us to leave as we could no longer hold
We made a dash to Paul's hill our movements were fast and bold
As we climbed the hill under fire looking for a route to escape
I spied a soldier in a foxhole and he was wearing Paul's smiling face
We smiled and shook hands and in the ribs we gave each other a poke
I had one Phillip Morris cigarette that I broke in half for us to smoke
But soon we saw the mortar shells getting closer with each round
We leaped from that foxhole to seek safety on higher ground
We started shooting immediately as we saw the enemy reach the crest
in the head and in the chest
What a nightmare to see my friend dying such a horrible death
Oh Father,
Why did I have to suffer through this awful gruesome test
For I was there from the start to his dying and tearful end
I hugged my dearest buddy my companion and closest friend
His ashen face took on the mask of death
I was there when my dearest friend took his final dying breath
Why you my friend? and why not I?
Why were you chosen over me to die?
Oh how strong you were when you left with death
You my friend were really one of the best
My life ended too on that hill that hot July day
But I was thankful you had the chance to talk to God and pray
Oh Paul, my dearest friend,
if I could sit down with you and drink a toast I would touch your glass
and know that never again to a man would I ever be as close
But one thing I'll do for you that I promised after that fight,
I'll pray for you forever my friend as long as God gives me the nights
Written in memory of my dearest friend Paul Larson
Who died in out first combat on july 05, 1950
- By : J. A. Langone, June 1995 -
자유수호자 유엔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1945년에 설립된 유엔은 전쟁방지와 평화유지, 국제협력활동을 하기 위해 구성되었어요. 1950년 북한이 불법적으로 남한을 침략하자 유엔은 이를 전 세계의 평화를 파괴하는 행위로 규정하여 즉각적인 참전을 결의하게 됩니다. 유엔의 회원국들은 이에 동참하여 미국을 포함한 16개국에서 전투부대를 지원하고, 스웨덴 등 6개국에서 의료지원부대를 파병, 39여개국이 물자를 지원하였어요. 비록 전쟁은 한반도 안에서 이뤄졌지만 그 모습은 국제전의 모습을 띄면서 냉전시대의 팽팽한 긴장과 자유와 평화를 수호하고자 한 지원국들의 의지를 확인 할 수 있게 되었죠.(유엔군 초전기념관 안내책자에서)
Thanks Task Force Smith
We express our thanks to the brave soldiers of
Task Force Smith who fought for the freedom and peace of this country.
이 땅의 자유와 평화를 위해 싸우신
스미스 특수부대용사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스미스 특수임무부대로부터 온
편지
Letters
from Task Force Smith
스미스 특수임무부대원들의
소중한 흔적들
Valuable Remains of Task Force Smith
미 제8군 사령관 월튼 H. 워커
Walton H. Walker
1950년 6 · 25전쟁이 발발하자 미 제8군사령관으로 참전한 후 낙동강 전선을 끝까지 사수함으로써 맥아더 장군이 인천상륙작전에 성공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전세를 역전시킨 공로로 6 · 25전쟁 영웅으로 추앙받고 있다.
워커 장군은 1950년 12월 23일 중공군의 공세에 맞서 부대를 지휘하던 중 서울 북쪽의 도봉지역에서 국군 쓰리쿼터(군용트럭)와의 충돌로 타고 있던 지프 차량이 전복됨에 따라 전사하였다.
미 제24사단장 윌리엄 F. 딘
William Frishe Dean
미 제24사단장인 윌리엄 F. 딘 장군은 6 · 25전쟁이 발발하자 스미스 특수임무부대를 먼저 투입시켰다. 이후 딘 장군은 사단 본대를 투입시켜 북한을 저지했으나 역부족이었다. 미 제24사단은 북한군의 공세에 밀려 대전 지역으로 밀려나게 되었다. 이때 미 제8군사령관 워커 장군은 딘 장군에게 7월 20일까지 대전을 사수해 줄 것을 명령하였다.
그 무렵 미 제1기병사단이 포항에 상륙하여 영동 방향으로 진출하고 있었다.
이에 딘 장군은 직접 3.5인치 로켓포를 메고 대전 시내까지 들어온 북한의 소련제 T-34탱크를 파괴하며 부대를 지휘하였다. 하지만 딘 장군은 7월 20일 밤 영동 방향으로 후퇴하는 과정에서 길을 잘못 들어 본대와 떨어지게 되었다. 이후 딘 장군은 35일간 신속을 헤매다가 8월에 전북 진안 부근에서 북한군의 포로가 되었다. 1953년 7월 27일 휴전협정이 조인됨에 따라 딘 장군은 3년간의 포로생활을 마치고 그 헤 9월 4일 판문점을 통해 귀환하였다.
7월 5일, 절대 잊을 수 없는 날이죠,
이침 7시였어요.
죽미령전투의 의의
Significance of the Tukmiryeong Battle
유엔군과 북한군의 전투
First Battle of the UN Force with the North Korea
오산 죽미령에서 유엔군의 일원으로 참전한 미 지상군 스미스 특수임무부대와 북한군은 첫 전투를 벌였다. 북한군은 미군이 참전하지 않거나 적어도 개입하기 전에 전쟁을 끝낸다는 계획하에 남침을 감행하였는데, 남침 개시 10여일 만에 미 지상군의 참전을 확인하게 된 것이었다. 죽미령전투로 북한군은 전력을 재정비해야 했으며, 미군은 북한군의 전력을 새롭게 평가하게 되었다. 6시간 15분의 죽미령전투는 미군의 초기 개입으로 낙동강 방어선을 구축하고 반격을 시도하는 시간을 벌 수 있게 된 의미 있는 전투였다.
유엔군의 참전
UN Force's participation
죽미령전투는 승패에 관계없이 유엔군의 참전을 알리게 된 계기가 되었고 이후 전쟁은 자유수호를 위한 유엔의 전쟁이 되었다.
유엔군의 파병은 유엔창설 이후 처음으로 유엔의 기본정신에 입각하여 유엔기를 앞세우고 자유와 평화를 수호하기 위해 "평화의 파괴자"에 맞서는 집단적 행동으로 평화를 회복하려는 노력을 했다는 점에서 중대한 역사적 가치를 가진다. 또한 한반도의 공산화 위기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우리나라의 자유주의를 수호하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하였다.
전투 속 이야기 1
Battle Episodes 1
월포드Wolford 형제 이야기
스미스 특수임무부대에서 가장 어린 군인
"B중대의 캠프우드에 있었던 미군의 대다수가 월포드 형제를 기억할 것입니다.
버질 월포드Virgil Wolford와 랜섬 월포드Ransome Wolford.
두 형제는 아주 어린 나이였던 14살, 16살에 군에 입대하였습니다.
아버지가 자동차 사고로 사망하였기 때문에 두 형제는 아버지를 대신해 가족을 부양해야 햇습니다. 버질과 랜섬 월포드를 아는 모든 사람들은 두 형제를 아주 좋아하였고 함께 그들의 앞날을 걱정해 주었습니다.
저의 아버지와 할머니는 역시 그들이 너무 어리다고 생각하여 미국으로 다시 데려오기 위해 노력 했습니다. 그러나 그 노력이 결실을 맺기도 전에 버질 월포드와 랜섬 월포드는 죽미령전투에서 전사하고 말았습니다. 당시 두 형제의 나이는 이제 겨우 16살, 18살이었습니다.
전투 속 이야기 2
Battle Episodes 2
스미스 특수임무부대 위생병을 위하여
1975년 7월 4일 대한민국으로부터 태극무공훈장을 수여받은 스미스 중령은 그날 저녁 지갑종(유엔참전국협회장)에게 "나는 이 훈장을 받을 자격이 없는 사람입니다. 대한민국의 명예로운 이 훈장을 당시 이름도 계급도 얼굴도 잘 기억나지 않는 위생병에게 마음으로 바치고 싶습니다."라고 고백하였다고 한다. 당시 위생병은 최후 퇴각 명령을 내렸을 때 "나는 부상병이 있으니 남아서 지켜야 됩니다."라고 하면서 끝까지 부상병을 돌보앗다고 한다. 스미스 중령은 바로 이것이 진정한 군인정신이기에 이 훈장을 위생병에게 바치겠다고 하였으며, 오늘날까지 살아오면서 그 위생병을 한시도 잊지 않고 살아왔다고 하였다.
전투 속이야기 3
Battle Episodes 3
죽미령전투에서 부상당한 페리 중령
1950년 7월 5일, 죽미령전투 중 선두전차대가 시야에서 사라진 다음 포병대대장 페리 중령은 연락장교인 나를 시켜 피격된 전차를 향하여 "전차에서 나와서 투쟁하라"고 외치게 하였다. 그러나 아무 반응이 없자 페리 중령은 포진지에 즉각 포격명령을 내려 그 전차에 3발을 더 포격하였다. 그러자 포격에 놀란 북한군 2명이 전차에서 뛰어나와 사격하는 바람에 페리 중령은 좌측다리에 총상을 입엇다. 그러나 그는 끝내 거부하고 부대를 지휘하였으며, 나중에 나와 함께 안성으로 철수하였다. 페리 중령은 책임감이 매우 강한 장교였다.
[2012. 1. 윤승국 예비역 소장 증언 내용 중]
전투 속 이야기 4
Battle Episodes 4
평택역 오폭사건
7월 3일 오전, 평택역에서 제17연대 등 전방에서 전투를 치르는 국군에 수송할 탄약을 실은 기차 20량, 일반보급품 7량, 공차 10량 등 보급품의 하역작업을 진행중이었다.그러던 오후 3시경, 호주 공군 전투기 조종사가 조종하는 4대의 무스탕기가 날아와 로켓과 기관총으로 6번 폭격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이로 인해 기차는 날아가 버렸고 진지에 투입 중이던 국군 제17연대의 병력과 차량, 남하중인 피난민 등 많은 피해를 입혔다. 이후 육군본부는 긴급명령을 하달하여 백색 광목천이나 백색 페인트를 사용하여 아군임을 표시토록 하였다.
우리의 미션은 적들의 진군을 지연시키고
좀 더 많은 병사를 사살하는 것이었어요.
길에서 탱크 한 대를 본 기억이 나요.
젊은 피를 흘린 내 친구, 폴
MY friend Paul, dying young
나의 친구 Paul에게···
일본의 육군 캠프에서 처음으로 Paul을 만났다.
남자라고 하기엔 우린 아직 소년에 불과했었지.
Paul이란 녀석과 나는 어느새 둘도 없는 친구가 되어
무엇을 하든 언제나 의욕이 넘쳐 있었어.
그 무엇도 Paul과 나의 우정을 갈라놓을 수 없을 거라 생각했지.
무더웠던 6월의 어느 날 전쟁이 일어나기 전까지···
우리 부대는 한국으로 향했지.
꿈과 같던 일본은 없어지고,
우리는 어느새 오산 외곽 언덕에서 적과 마주하고 있었다.
오전 8시, 피할 수 없는 전장의 불꽃이 타올랐어.
그때까지 나는 몇 시간 후 나를 비통에 빠뜨릴 죽음을 알 수 없었지.
우리 군은 점차 불리해졌고, 결국 퇴각 명령을 듣게 되었다.
나는 Paul이 있던 언덕으로 포화를 뚫고 탈출로를 찾으며 단숨에 달려갔어.
참호 안에서 발견한 Paul은 나에게 아무 말 없이 미소로 답해 주었지.
우린 말없이 힘있게 서로는 부둥켜 앉고는 마지막 남은 필립모리스를
나눠 피웠다.
그러곤 참호를 벗어나 달리기 시작했지.
산마루에 보이는 적군을 향해 정신없이 발포를 하며 뛰는데
찰나의 불꽃이 지나가는 걸 보았어.
Paul의 머리와 가슴에 총알이 지나간거야.
끔찍한 고통 속에서 죽음을 맞이하는 전우
그 죽음 곁을 지키는 나
신이시여!
어찌하여 이렇게 무서운 시련으로 고통을 주려 하십니까.
친구의 눈물과 죽음의 고통을 옆에서 지켜보며 끌어안을 수밖에 없었네.
어찌하여 이렇게 무서운 시련으로 고통을 주려 하십니까.
친구의 눈물과 죽음의 고통을 옆에서 지켜보며 끌어안을 수밖에 없었네.
나의 전우를··· 둘도 없는 친구를··· 소중한 벗을···
친구의 잿빛 얼굴은 마침내 죽음으로 뒤덮이고
나는 내 소중한 벗이 들이쉬는 마지막 숨을 지켜보았네.
왜 하필 너여야 하니
쵀 내가 아닌거니. 왜 나 대신 네가 선택된 거니?
죽음의 순간에도 강인했던 나의 친구 Paul, 너는 나의 최고의 친구였어.
내 삶과 그 무더웠던 7월에 그 언덕에서 함께 끝났지.
하지만 이렇게 신에게 기도를 올릴 수 있게 된 것에 감사한다.
Paul, 내 소중한 벗이여
너와 함께 앉아 같이 건배를 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너를 위해 내가 할 수 있는 유일한 한 가지는
신이 나를 데려가는 그날까지 영원히 너를 위해 기도할 뿐
1950년 7월 5일 첫 전투에서 저사한 나의 벗
Paul Larson을 생각하며..
- 1995년 6월 Joseph A. Langone -(유엔군 초전기념관 안내책자에서)
- 계속 -
'6.25전쟁 참전국 기념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산 죽미령 평화공원] 07 (0) | 2020.11.21 |
---|---|
[오산 죽미령 평화공원] 06 (0) | 2020.11.19 |
[오산 죽미령 평화공원] 04 (0) | 2020.11.16 |
[오산 죽미령 평화공원] 03 (0) | 2020.11.16 |
[오산 죽미령 평화공원] 02 (1) | 2020.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