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산 죽미령 평화공원] 04
■ 1950.07.05 보병전투과정
Sequence of Infantry Battles
10 : 00 북한군 전차 3대와 보병 이동 목격
3 of NKA trucks and Infantry movements were observed
11 : 45 아군의 전방 1km에 접근했을 때 사격을 가함
When the North Korean Forces reached 0.6mile from friendly positions, Task Force Smith started gun fighting
12 : 30 북한군 100고지로 진입
The North Korean Forces crossed a hill at an attitude of 100m
14 : 00 북한군 보병진지를 포위
The North Koreans surrounded friendly the infantry position
14 : 30 철수결정으로 전투 종료
The battle finished as Task Force Smith withdrew
죽미령전투 이후의 전투
Battles after Jukmiryeong Battle
죽미령전투가 진행되는 동안 미 제24사단 제34연대가 오산의 후방인 평택-안성에 새롭게 저지선을 구축하였다. 그러나 죽미령을 돌파하고 파죽지세로 밀려오는 북한군 전차에 밀려 천안 남쪽으로 후퇴하게 되었다. 7월 8일 공주지역까지 철수한 미군은 금강을 방어선으로 삼고 지연전을 펼쳤다. 그 결과 남진 속도가 늦춰진 북한군에 미 공군의 공습이 이어지면서 북한군의 전력은 점차 약화되어 갔다.
④ 대전차 로켓발사기 RPG-2
Antitank Grenade Launcher, RPG-2
북한군 대전차 화기로 장갑차량이나, 밀집된 부대를 표적으로 사격한다. 중량이 가벼워 휴대가 용이하고, 비교적 근거리에서 사격함으로 명중률이 높아 널리 보급되었다.
⑤ 대전차 로켓발사기 RPG-7
Antitank Grenade Launcher, RPG-7
RPG-2의 약점인 짧은 사거리를 연장시키기 위해 개량된 무기로 유효사거리가 300m에 이른다.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무게가 가벼워 휴대에 용이하다. 북한에서는 '7호 발사관'이라고 부르며 보병 분대당 1개씩 편제되어 있다.
⑥ 슈파긴 기관단총
Shpagin Submachine Gun, PPSh-41
소련에서 제2차 세계대전 당시 개발한 화기로 일명 '따발총(多發銃)'이라고 불린다. 탄창 1개에 71발의 총알이 들어있어 짧은 전투에서는 탄창을 교환하지 않고도 전투를 치를 수 있다. 연속 반자동 사격이 불가능한 북한군의 주력 소총 모시나간트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일선 부대에서 대량으로 운용되었다.
① 모시나간트 소총
Mosin - Nagant Rifle M1891/30
1981년에 러시아에서 처음 개발된 소총으로 제1 · 2차 세계대전까지 소련군의 주력 소총이었으며, 6 · 25전쟁 때는 북한군의 주력 소총으로 활용되었다. 잔고장이 적으나 연속 반자동 사격이 불가능하여 이를 보완하기 위해 슈파긴 기관단총 등과 함께 운용되었다.
② 시모노프 소총
SKS(Samozaryadnyj Karabin Sistemy Simonova, 1945
1946년 구 소련군에 보급된 가스작동의 반자동식 소총으로 M-1 카빈과 유사하여 시모노프 카빈이라고도 불린다. 가벼운 반동과 적당한 무게, 빠른 발사 속도 등이 특징이다.
③ TT-33 권총 Tokarev Pistol, TT-33
1930년 소련군에게 지급된 권총으로 6 · 25전쟁 당시 북한군과 중공군 장교들이 많이 사용하였다.
북한의 T-34 전차
T-34 NKA Tanks
T-34전차는 1940년에서 1958년에 걸쳐 생산된 소련의중전차이다. 북한국은 1950년 남침 당시 242대의 T-34전차를 동원하였다. 북한군은 한국군과 유엔군을 상대로 초기엔 화력의 우위를 자랑했지만 이후, M26 중전차, 지상공격기, 3.5인치 슈퍼바주카포 등이 등장하자 우위를 잃고 무너지기 시작하였다.
스미스 특수임무부대의 105mm 곡사포
Task Force Smith 105mm Howitzers
미국은 제1차 세계대전 종료 후 1920년에 105m 곡사포를 제작하여 사단 포병의 주 화력지원수단으로 사용하였다. 이 화포는 견인과 공중 투하가 가능하였고, 정확도, 발사속도 및 화력지원의 신뢰성 면에서 매우 우수한 수준이었다.
⑤ 브라우닝 자동소총(M1918A2)
Browning Automatic Rifle(BAR), M1918A2
미국이 1917년에 개발한 소총과 경기관총의 혼합형 자동 소총으로 양각대를 사용하여 명중률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1918년 최초로 미 제7보병사단에 지급되었으며, 국군에서는 1948년 주한미군 철수 시 인수하였다.
⑥ M1 소총
M1 Rifle
미국 스프링필드 병기창에서 존 개런드가 개발한 소총으로, 1936년 미 육군에서 사용한 제식용 반자동 소총이다. 국군은 1947년 주한미군으로부터 인수해 6 · 25전쟁 동안 육군의 개인 주력화기로 사용하였다.
⑦ 카빈 소총
M1 Carbine
1930년대 후반 미 육군이 개발한 소총으로 M-1 개런드 소총보다 20cm 정도 짧다. 가벼워서 휴대와 조작이 쉬우나 M-1 개런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사거리와 관통력은 떨어진다. 국군은 1949년 주한미군에게서 인계받아 장비하였으며, 6 · 25전쟁동안 초급지휘자용 개인화기로 사용하였다.
⑧ 콜트 45구경 권총
Pistol, Caliber, 45, M1911A1
미국의 총기 설계사 존 브라우닝이 설계한 권총. 파괴력이 뛰어나 권총으로 채택되었다. 국군은 1949년 주한미군이 철수할 때 이 권총을 인수하여 지휘 및 호신용으로 사용하였다.
① 75mm 무반동총
75mm Recoilless Rifle, M20
독일이 1940년 개발하여 대전차 파괴용으로 사용한 화기로 미국에서는 1945년부터 생산하기 시작하였다.
국군에서는 6 · 25전쟁 시 M18 57mm 무반동총과 함께 미군으로부터 인수받아 T-34전차 파괴용으로 운용하였다.
② 75mm 무반동총用 고폭탄
75mm Recoilless Rifle HEAT
미국에서 생산한 75mm 무반동총 탄약이다.
③ 105mm 곡사포 고폭탄
105mm Howitzers HEAT
폭풍 및 지뢰효과와 파편에 의해서 인마살상과 물자파괴용으로 지상군을 지원하는 데 사용되는 탄약이다.
④ 2.36인치 로켓발사기
2.36″ ROCKET Launcher
일명 "바주카포"라고도 불리며 사수와 포탄을 장전하는 조수가 한 조가 되어 어깨에 메고 사격하였다. 국군은 1949년 주한미군 철수시 인수하여 사용하였으나 6 · 25전쟁 초기 북한군의 T-34전차에 대항하기에는 위력이 너무나 미비하여 이후 2.5인치 로켓발사기로 대체되었다.
- 계속
'6.25전쟁 참전국 기념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산 죽미령 평화공원] 06 (0) | 2020.11.19 |
---|---|
[오산 죽미령 평화공원] 05 (0) | 2020.11.17 |
[오산 죽미령 평화공원] 03 (0) | 2020.11.16 |
[오산 죽미령 평화공원] 02 (1) | 2020.11.15 |
[오산 죽미령 평화공원] 01 (0) | 2020.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