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래근린공원] 01
1. 탐방일 : 2020년 12월 2일(수)
2. 누구와 함께 : 승부와 성기
3. 만난 장소 : 지하철 2호선 문래역 1번 출입구
문래근린공원에 있는 五 · 一六革命發祥地 박정희 소장 흉상
박정희 소장 흉상 앞에선 성기
경 고
박정희 대통령 흉상과 지하 벙커에 대하여 손괴(파괴)하는 자는
이유여하를 불문하고 민 · 형사 처벌함을 경고함.
박정희대통령흉상보존회 (02)2678-0516
문래근린공원의 물레
문익점(文益漸)
1331(충혜왕 원년) ~ 1398(태조 7년). 고려말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호는 삼우당(三憂堂) 시호는 충선공(忠宣公)이다.
1360년(공민왕 9) 문과에 급제하에 김해부사록(金海府司錄) · 순유박사(諄諭博士)를 거쳐 1363년에 좌정언(左正言)으로 계품사(啓稟使)의 서장관(書狀官)으로 원나라에 갔다. 귀국할 때 금수품이던 목화씨를 몰래 가지고 들어와 진주에서 장인인 정천익(鄭天翼)과 함께 3년 만에 목화재배에 성공했다. 처음에는 목화에서 씨를 제거하고 실을 뽑을 줄 몰랐으나, 정천익이 호승(胡僧) · 홍원(弘願)에게 씨를 빼는 씨아와 실을 뽑는 물레를 만드는 방법을 배워 이를 보급시켰다.
목화가 널리 전해짐으로써 일반 백성들의 의복 재료가 종래의 삼베에서 무명으로 바뀌게 되었다. 목면을 보급한 공으로 1375년(우왕 1) 전의주부(典儀注簿)에 임명되었다.
1440년(세종 22)에는 영의정과 부민후(富民候)를 추증했고, 충선공(忠宣公)이라 시호를 내렸다. 경상남도 산청군 단성면 사월리의 문익점 면화 시배지가 사적 제108호로 지정되어 있고, 이곳에 삼우당 선생 면화시배사적비가 세워져 있다. 목화의 전래와 재배, 가공 등에 대한 내용이 <목면화가木棉花記>에 실려 있다.
물레의 각부 명칭
목화송이 따기
목화송이 따기
7월 중순쯤 피기 시작한 목화꽃이 다래(열매)를 맺어 벌어지기 시작하면 새하얀 목화송이를 따는 아낙네들의 손길이 바빠집니다.
다래가 벌어진 것부터 차례로 따며 따는대로 햇볕에 활짝 널어 말립니다.
대개 8월 중순부터 시작하여 11월에 들어 된서리가 오기전까지 대부분을 수확합니다.
씨앗기[씨빼기]
목화송이에서 솜과 씨를 분리하는 일(출처 :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 김준근 作)
목화송이에서 솜과 씨를 분리하는 일
잘 말린 목화송이를 씨아에 물리고 씨아손을 돌리면 씨는 가락 앞으로 떨어지고 솜은 가락 사이로 빠져나가 뒤로 떨어져 쌓입니다.
씨아 : 목화송이에서 목화씨를 빼내는 기구
활타기[솜타기]
솜을 부풀려 부드럽게 펴는 일(출처 :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 김준근 作)
솜을 부풀려 부드럽게 펴는 일
솜활은 대나무를 활 모양으로 휘어서 만듭니다. 씨아로 씨를 분리한 솜을 자리에 놓고 한 손에 활을 들고 반대 손에는 활꼭지(박달나무로 만든 손잡이)로 활줄을 퉁기면 진동에 의해 껍질 등의 잡물이 떨어지고 솜이 뭉게구름처럼 부풀어 오릅니다.
고치말기 : 활로 탄 솜은 말판에다 놓고 말대(고르고 긴 수수깡)로 비벼 말아 면통을 만드는데, 이것을 고치말기라 합니다.
물레잣기[실잣기, 실뽑기]
실을 길게 뽑아내는 일
고치말기를 통해 얻어진 면통(고치)을 가지고 물레에 걸어 실을 뽑아냅니다.
왼손으로 고치를 풀어낼 때 손끝의 예민한 동작과 감각에 의해 실의 굵기와 품질이 결정되므로 물레잣기는 무영생산에서 최고의 기술을 요하는 과정입니다.
물레 : 고치말기를 통해 얻어진 면통(고치)을 가지고 무명실을 뽑는데 쓰이는 기구
무명 날기[날뽑기]
무명 매기[베매기]
무명매기하는 모습
새로 짤 베 길이를 가늠하여 같은 길이로 날실을 준비하여 엉키지 않게 사려 놓은 것을 무명날기라고 합니다.
이것을 바디에 꿰어 도투마리에 고정시키고 좁쌀풀을 먹여 말려서 강도를 높이는 것을 무명매기라고 합니다.
씨실로 쓸 무명 올은 따로 맹물에 푹 삶아 북에 넣어 준비합니다.
무명짜기[베짜기]
베틀에서 무명천을 만드는 작업
무명 올이 감긴 도투마리를 베틀로 옮겨 무명을 짭니다. 실이 마르면 끊어지므로 수분을 공급해가며 짭니다.
베틀에서 짜낸 무명은 나무나 콩깍지를 태워 만든 잿물에 하룻밤 정도 재운 뒤, 맑은 물에 헹구어 말리는 마전을 여러 번 반복할수록 윤기가 납니다.
저녁을 먹은 중국집(신흥각) 앞 벽(울면 4,500원)
-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