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산 죽미령 평화공원] 18

 

 

에티오피아

Ethiopia

 

에티오피아는 아프리카 대륙에서 지상군을 파견한 유일한 나라였다. 집단안보라는 신념을 위해 1950년 7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결의에 지지를 발표했고, 8월에 물자를 지원하고 파병을 결정하였다. 에티오피아의 각뉴(Kagnew)대대는 1951년 5월 미 제7사단에 배속되어 계속 운용되었다. 6 · 25전쟁 기간동안 적근산전투, 화천지구전투, 양구부근전투 등 250여 차례에 달하는 전투를 수행하며 대부분 승리하는 전과를 이루었다.

 

○ 참전기간 : 1951. 5. 6 ~ 1955. 1

○ 참전규모 : 1개 보병대대(1 Infantry Battalion)

○ 참전연인원 : 3,518

○ 부상자 : 536

○ 전사자 : 122

 

그리스

The Hellenic Republic

 

그리스는 6 · 25전쟁에 참전하여 보병 1개 대대와 7대의 C-47 다코타 항공기로 구성된 공군1개 공수비행대대를 파병하였다. 공수비행대대는 장진호전투를 지원하였으며, 총 2,916회의 임무를 수행하였다. 그리스군은 미 해병 사단을 직접 지원하여 전 · 사상자를 후방지역으로 후송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전쟁 중 수행한 또 다른 주요 전투는 노리고지전투와 북정령전투이다.

 

○ 참전기간 : 1950. 12. 9 ~ 1955. 12

○ 참전규모 : 1개 보병대대(1 Infantry Battalion), 1개 공수비행대대(1 Transport Squadron)

○ 참전연인원 : 10,255

○ 부상자 : 617

○ 전사자 : 187

 

이탈리아

Italy

 

이탈리아는 유엔 회원국이 아니었으나 한국에 의료지원부대를 파병하였다. 이탈리아는 1950년 8월 국제적십자연맹이 6 · 25전쟁의 전상자 치료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해 달라고 요청하자 의료지원부대의 파견을 결정하였다. 이탈리아 적십자사는 군의관 6명, 행정관 2명, 약제사 1명, 군목 1명, 간호사 6명, 사병 50명으로 구성된 제68적십자병원을 편성하고, 의약품과 의료장비를 준비하여 1951년 11월 16일 부산에 도착하였다. 150개의 병상규모로 운영되었던 제68적십자병원은 서울 영등포에 주둔하며 유엔군 장병과 민간인에 대한 진료활동을 하였다.

 

○ 참전기간 : 1951. 11. 16 ~ 1955. 1. 2

○ 참전규모 : 제68적십자병원(68th Military Red Cross Hospital)

○ 참전연인원 : 189

○ 부상자 : 0

○ 전사자 : 0

 

네덜란드

Netherland

 

네덜란드는 미국 · 영국 · 호주에 이어 네 번째로 한국에 군대를 파병하였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결의에 의해 먼저 해군 구축함 1척을 파견하였고, 이후 총 6척의 함정을 파견하여 미 극동 해군과 함께 해상작전을 수행하였다. 한국의 전황이 악화되자 네덜란드는 보병 1개대대를 파병하였다. 보병대대는 1950년 11월 23일 부산에 도착하여 11월말에 전방으로 이동한 후 미 제2사단에 배속되어 작전활동에 들어갔다. 전쟁동안 수행한 주요 전투는 횡성전투와 인제전투이다.

 

○ 참전기간 : 1950. 7. 16 ~ 1955. 1

○ 참전규모 : 1개 보병대대(1 Infantry Battalion), 함정 1척(1 Ship)

○ 참전연인원 : 5,322

○ 부상자 : 645

○ 전사자 : 124

 

노르웨이

Norway

 

1951년부터 1954년까지 주둔했던 노르매시(노르웨이 이동외과병원)에는 총 623명의 노르웨이 남녀 의료진이 근무하였다. 미 제8군 소속으로 의정부에 세워진 노르매시 부대는 최전선인 동두천으로 이전 후 군인과 민간인을 포함하여 약 9만여 명 이상을 치료했으며 10만여 번의 수술을 시행하였다.

 

○ 참전기간 : 1951. 7. 18 ~ 1954. 10. 18

○ 참전규모 : 이동외과병원(Mobile Army Surgical Hospital)

○ 참전연인원 : 623

○ 부상자 : 0

○ 전사자 : 3

 

남아프리카공화국

Republic of South Africa

 

남아프리카공화국은 아프리카 국가 중 최초로 한국에 공군부대를 파병하였다. 지리적 여건으로 인하여 지상군 파병이 어렵게 되자 공군만을 파병하게 되었다. 1950년 11월 '하늘을 나는 치타'로 불리던 제2전투비행대대는 미군으로부터 F-51 무스탕전투기 16대를 인수받아 공중작전에 투입되었다. 남아프리카 공군부대는 미 공군에 배속되어 후반차단 작전과 폭격작전을 수행하였다. 전쟁동안 수행한 주요 전투는 스트랭글 폭격작전과 강압작전이다.

 

○ 참전기간 : 1950. 11. 16 ~ 1953. 10

○ 참전규모 : 1개 전투비행대대(1 Fighter Squadron)

○ 참전연인원 : 826

○ 부상자 : 0

○ 전사자 : 37

 

태국

Kingdom of Thailand

 

태국은 아시아 국가들 중 가장 먼저 유엔의 한국지원에 호응해 지원의사를 표명하였다. 6 · 25전쟁 발발 5일 후인 6월 30일 쌀 4만톤을 제공하는 것으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결의에 지지를 보냈다. 태국은 1개 대대의 육군 병력 이외에도 프리깃함 3척과 왕립타이공군의 C-47 수송기를 보내는 등 육 · 해 · 공군을 모두 파견했다. 태국군은 포크찹고지 방어에서 3차에 걸친 중공군의 공격을 백병전으로 격퇴함으로써 '작은 호랑이'라는 애칭을 얻기도 하였다.

 

○ 참전기간 : 1950. 11. 7 ~ 1957. 2. 6

○ 참전규모 : 1개 보병대대(1 Infantry Battalion), 함정 5척(5 Ships), 1개 수송기편대(1 transport Formation)

○ 참전연인원 : 6,326

○ 부상자 : 1,139

○ 전사자 : 129

 

영국

United Kingdom

 

1950년 6월, 영국은 대한민국을 돕기 위해 UN 참전국 중 두 번째로 자국의 육 · 해 · 공군 병력을 한국에 파병하였다. 영국 해군은 인천상륙작전을 포함하여 수많은 전투에 전투자산을 투입하였으며, 2개의 영국 유군 여단을 제1영연방 사단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였다. 영국군이 참여한 주요 전투는 낙동강방어선전투, 박천전투, 임진강전투, 가평전투, 코만도작전, 해피밸리전투 그리고 후크고지전투 등이 있다.

 

○ 참전기간 : 1950. 6. 29 ~ 1957

○ 참전규모 : 2개 보병여단(2 Infantry Brigades), 1개 특공대(1 Commando Unit), 함정 50척(50 Ships), 11개 비행중대(11 Air Squadrons)

○ 참전연인원 : 81,084

○ 부상자 : 2,674

○ 전사자 : 1,108

 

국가보훈처 지정 현충시설

Memorial Facility appointed by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新유엔군 초전기념비

New Monument of UN Forces First Battle

 

건립일  1982년 4월 6일

건립자  교통부, 경기도

규   모  16,500m

 

6 · 25전쟁 당시 유엔군과 북한군이 벌인 최초의 전투에서 전사한 스미스 특수임무부대원의 넋을 위로하기 위해 세워진 기념비이다. 초전비는 북한군에 맞서 유엔군이 방어한 최초의 성벽임을 나타내는 세 겹의 높은 탑신으로 표현되고 있으며, 중앙에 스미스부대원의 전투장면이 묘사되어 있다.

매년 7월 5일을 기하여 죽미령전투의 의의를 기리고 전몰 장병들을 추모하기 위하여 추념식이 거행된다,

 

■ 죽미령 전투 개황

 

07 : 00  북한군 전차 8대 남진 발견

08 : 16  전방 1.8km 접근 시 포병 105mm 곡사포 사격

08 : 30  적 선두 전차 죽미령을 넘어 진격

10 : 00  북한군 전차 3대와 보병이동 목격

10 : 15  본대의 최종 전차 포병진지 통과

12 : 30  북한군 100고지로 진입

14 : 00  북한군 보병진지를 포위

14 : 30  철수 결정으로 전투 종료

 

뒷풀이한 오산오색시장 오산순대국

 

 

- 끝

 

 

 

 

 

 

 

 

 

 

 

 

 

 

 

 

 

 

 

 

 

 

 

 

Posted by 드무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