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의도개발'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21.01.17 [박정희대통령기념관] 17 1

[박정희대통령기념관] 17

 

새마을 모자(왼쪽)

박정희 대통령이 직접 사용했던 새마을 모자. 1970.

 

새마을 노래 LP판(오른쪽)

박정희 대통령이 직접 작사, 작곡한 노래로 새마을 운동 당시 전국에 널리 불려졌다. 1972.

 

한국신문협회 창립 10주년 기념패(왼쪽)

한국신문협회 창립 10주년 기념패로 새마을 운동 노래 악보와 가사가 쓰여 있다. 1972. 10. 13.

 

새마을 교재 / 정신교육특별과정(오른쪽)

새마을 운동에 대한 교육용 교재로 새마을 운동 정신계발, 정책방향, 성공사례 등의 내용이 담겨 있다.

 

새마을운동

새마을 운동은 근면 · 자조 · 협동 정신을 생활화하는 국민의식 개혁과 사회구조 개선을 지향하는 운동으로서 대통령의 지속적인 관심과 정책적 지원, 새마을 지도자들의 헌신적인 봉사가 어우러진 범국민운동이었다. 정부는 1970년 전국 3만 3,267개 마을에 시멘트를 무상으로 지원하고 사업추진 성과가 뚜렷한 1만 6,600개 마을에 시멘트와 철근을 추가로 공급하는 신상필벌信賞必罰의 원칙을 내세워 자발적인 협동 노력을 장려하였다. 새마을 운동은 공장과 도시, 직장 등 한국사회 전체의 근대화 운동으로 확대 · 발전되었고 농가부업장려, 영농의 과학화, 새마을금고 육성 등 소득증대사업으로까지 넓혀 갔다. '하면 된다'는 자신감은 1970년대 경제 발전을 이루는 정신적인 힘이 되었다. 오늘날 새마을운동은 개발도상국의 국가발전 모델로 인정받고 있으며, 많은 개도국의 공무원과 학생들이 새마을운동을 배우기 위해 우리나라를 찾아와 교육을 받고, 자국의 실정에 맞게 도입하고 있다.

 

새마을운동의 기본방향

대통령 비서실에서 작성한 것으로 새마을 운동의 기본방향에 대한 내용이 담겨 있다. 1972. 4.

 

새마을운동 취지문

새마을운동의 개념과 추진방법이 담긴 박정희 대통령 친필 원고. 1972. 4. 28.

 

67년도 대농어촌 지원계획

국가 차원의 농지 확대 개발 정책을 수립 시행하면서 농어촌에 대한 재정 및 금융 지원 계획.

 

주곡의 자급자족,

통일벼 개발

 

한국의 녹색혁명

벼 신품종의 개발과 보급. 1978. 5. 10.

 

성공한 한국의 녹색혁명(국제미작연구소)

필리핀 소재 국제미작연구소(IRRI)가 발행한 "국제미작연구보고서"(1976 추계호)에 우리나라 농업혁명에 관한 보고서가 있어 그 내용을 요약하여 대통령에게 보고한 문서. 1967. 11. 3.

 

주곡의 자급자족,

통일벼 개발

1960년대 우리나라는 국민 대다수가 매 끼니를 걱정할 정도로 배고프고 가난한 시절이었다. 흔히들 말하는 '보릿고개'는 배고픔의 대명사였다. 지긋지긋한 보릿고개의 고통을 해결하고 식량자급자족을 달성하기 위한 대책이 절실히 필요하였다. 매년 겪어야 했던 식량문제를 획기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주식인 쌀의 신품종을 개발하는 것이었다. 그것이 바로 단위당 생산량이 다른 품종들보다 30%나 높은 통일벼였다. 통일벼는 1971년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허문희 교수에 의해 개발된 품종으로 박정희 대통령의 적극적인 지원이 있었다. 일반벼는 이삭 당 낱알이 80~90개인데 비해 통일벼는 40%가 더 많은 120~130개가 생산되었다. 통일벼는 '주곡의 자급달성과 녹색혁명 성취'라는 오랜 집념의 결실이었다. 그 결과 우리나라는 1975년 주곡인 쌀의 자급자족을 이룰 수 있었다.

 

벼 신품종 육성결과 보고(제384호)

농림부에서 경제장관회의에 벼 우량품종의 육성경위와 보급 방안을 보고한 문서. 1969. 9

 

한강유역개발

 

여의도 개발 현장을 시찰하는 박정희 대통령. 1968.

 

여의도 윤중제 준공식에 참석한 박정희 대통령. 1968. 6. 1.

 

한강유역개발

1960년대 이전까지 수도 서울의 중심은 한강 이북이 주를 이루었다. 그러나 폭발적인 인구증가에 따른 교통문제와 주택난 등 여러 가지 사회문제가 발생함에 따라 서울 외곽지역의 개발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박정희 대통령은 1967년부터 본격적으로 한강개발계획을 추진하였다. 먼저 한강의 홍수 피해를 막고 도심의 교통난 해소를 위해 강변도로를 건설하였다. 이때 건설된 강변도로가 오늘날 '강변북로'와 '올림픽대로'이다. 또한 강남개발로 인한 교통량 급증을 해결하기 위해 1979년까지 한강을 건너는 총 9개의 다리가 건설되었고 시내 교통체증을 원활히 하기 위해 남산터널과 지하보도, 육교도 건설되었다. 한편, 한강변의 공유수면을 매립하여 반포 · 압구정 · 잠실 등 총 19개 지구, 약 396㎢의 택지를 조성하였다. 오늘날 여의도공원도 원래는 1967년 한강개발계획의 일환으로 조성된 5 · 16광장이었다. 이렇듯 한강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종합개발은 오늘날 대한민국 수도 서울을 세계적인 도시로 발전시키는 데 밑거름이 되었다.

 

1960~70년대 한강의 교량건설

교량명 제2한강교
(양화대교)
제3한강교
(한남대교)
서울대교
(마포대교)
잠실대교 영동대교 천호대교 잠수교 성수대교 잠실철교
위치 서울시 마포구 성산동~서울시 영등포구 양화동 서울시 용산구 한남동~서울시 강남구 신사동 서울시 마포구 마포동~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서울시 광진구 자양동~서울시 송파구 신천동 서울시 광진구 자양동~서울시 강남구 청담동 서울시 광진구 광장동~서울시 송파구 풍납동 서울시 용산구 서빙고동~서울시 서초구 잠원동 서울시 성동구 성수동~서울시 강남구 압구정동 서울시 광진구 구의동~서울시 송파구 신천동
완공일자 1965.1.25 1969.12.25 1970.5.16 1972.7.1 1973.11.8 1976.7.5 1976.7.15 1979.10.15 1979.10.30

 

도시계획

서울도시계획 보고서에 대한 박정희 대통령의 유의 및 지시사항을 적은 문서. 1969. 01. 26.

 

 

- 계속

'박물관, 기념관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정희대통령기념관] 19  (0) 2021.03.12
[박정희대통령기념관] 18  (0) 2021.01.18
[박정희대통령기념관] 16  (0) 2021.01.17
[박정희대통령기념관] 15  (0) 2021.01.03
[박정희대통령기념관] 14  (0) 2020.12.20
Posted by 드무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