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희대통령기념관] 20
한국개발연구원 KDI
박정희 대통령은 1962년 첫 발표된 경제개발 계획은 수립하는 과정에서 전문적인 경제연구소 설립의 필요성을 절감하였다. 이에 따라 경제전반에 관한 정책과제를 현실적이고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의 수립과 정책 입안에 도움을 줄 연구기관인 KDI가 1971년 3월에 설립되었다. 당시 박정희 대통령은 "그간 정책결정에 있어 과학적인 분석자료에 근거하지 않은 토론에만 의존한 측면이 있어 허전했는데 KDI가 생겨 마음이 든든하다"하며 수시로 방문하였다. KDI 연구진은 경제개발 5개년 계획 작성은 물론 의료보험제도 · 산업재해보상보험제도 · 연금 및 퇴직금 제도 · 고용보험제도 등 사회보장제도에 대한 기초연구와 절대빈곤 문제를 포함한 소득분배 문제에 관한 기초조사 및 연구에도 적극 참여하였다.
KDI 개관 기념식에 참석한 박정희 대통령 1972. 7. 4
대덕연구단지
1969년 과학한국의 산실인 KIST가 설립되었지만 경제규모의 확대와 기술수요의 급속한 팽창을 충당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산업 · 기술별로 더욱 전문화된 연구기관의 신설이 절실해지자, 대전에 대규모의 대덕연구단지를 건설하였다. 이는 KIST를 중심으로 한 서울연구단지에 이어 당시 서울에 산재해 있는 국 · 공립 연구기관과 장차 민간연구기관을 수용하기 위한 계획의 일환이었다. 대덕연구단지는 연구원의 상호 접촉하기 위한 계획의 일환이었다. 대덕연구단지는 연구원의 상호 접촉기회를 확대해 지적 교류를 증대하고 타 분야 간 협동연구시설의 공동활용과 기술정보의 신속한 교환 등 연구기관 집단화의 장점을 갖춤으로써 기술개발과 투자의 효율화를 도모하게 되었다. 현재 대덕연구단지는 우리나라 과학기술 진흥과 산업발전에 선도적 역할을 하고 있다.
한국과학기술원 KAIST
KAIST는 우리나라 산업발전에 필요한 과학기술분야에 대해 깊이 있는 이론과 실제적인 응용력을 갖춘 고급 과학기술 인재를 양성하고 국가 정책적으로 수행하는 연구개발 사업을 수행하게 위해 1971년 한국과학원법에 따라 설치되었다. KAIST는 서울 홍릉에 국내 최초의 연구중심 이공계 특수대학원인 한국과학원으로 시작해서 설립 이후 고급 과학기술 인재 양성을 목표로 실험 · 실습 위주의 교육과정과 국제학습지 논문게재 의무화 등을 통해 선진적 이공계 대학원 교육을 추진하였다. 이는 국내 대학원 교육에 질적 · 양적으로 큰 변화를 가져온 계기가 되었다.
<사진> 한국과학원에서 개막된 미국산업기계전시회에 참석한 박정희 대통령 1971. 10. 18
자주국방만이 살 길이다
우리나라의 자주국방에 대한 노력이 공식화된 것은 중화학공업이 추진하면서부터였다. 중화학공업을 통해 방위산업을 육성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국군의 현대화와 자주국방을 달성함으로써 북한의 위협과 주한미국 감축에 대비하고자 한 것이다. 당시 북한은 '전인민의 무장화', '전국토의 요새화', '전군의 간부화' 등 4대 군사 노선을 추진하며 남침의 기회만을 엿보고 있었고 1969년 미국마저 아시아에 주둔하는 미군을 철수하겠다는 '닉슨 독트린'을 발표하면서 우리나라 국가안보에 상당한 충격을 안겨주었다. 이에 국방부는 1974년 일명 '율곡계획'으로 불린 전력증강 8개년 계획은 수립 · 추진하였으며 이 계획으로 소총, 미사일, 전차 등이 국산화 되었고 해군과 공군도 전력을 강화하는 등 획기적인 자주 국방태세를 구축하였다.
북한의 대남 도발 현황
도발 명칭 | 일시 | 내용 | 목적 | |
1 · 21 청와대 기습 사건 | 1968. 1. 21 | 북한 124군부대 31명이 청와대 기습 | 박정희 대통령 암살 | |
미 정보 수집함 푸에블로호 피납사건 |
1968. 1. 23 | 미 해군 정보수집함 푸에블로호를 원산항으로 납치 | 미국의 대응 시험 | |
울진 · 삼척 무장공비 침투사건 | 1968. 10. 30 | 울진 · 삼척에 120여 명의 무장공비 침투 | 사회혼란 및 예비군 능력 시험 |
|
국립묘지 현충문 폭파사건 | 1970. 6. 22 | 국립묘지 현충문에 시한폭탄 장치를 설치하려다 실패 | 박정희 대통령 암살 | |
육영수 여사 피격사건 | 1974. 8. 15 | 조총련계 재일교포 문세광의 저격 | 박정희 대통령 암살 | |
북한 땅굴 발견 |
1땅굴 | 1974. 11. 15 | 김일성의 지시로 휴전선에서 서울을 향해 땅굴 굴착 | 남침 기습용 |
2땅굴 | 1975. 3. 19 | |||
3땅굴 | 1978. 10. 17 | |||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 | 1976. 8. 18 | 판문점에서 북한국 30여 명이 미루나무를 베던 미국 2명을 도끼로 살해 | 한비 공조 체계 시험 |
연도별 북한도발에 대한 정부의 각종 조치 상황
구분 | 조치내용 | 연도 | |
한미 동맹 강화 | 한미연례안보협의(SCM) 설치 | 1968 | |
한미훈련 및 연습 |
독수리훈련 | 1961 | |
을지포커스 | 1976 | ||
팀스피리트 | 1976 | ||
한미연합군사령부 창설 | 1978 | ||
정부 종합 연습 | 을지연습 | 1976 | |
자주국방 추진 | 군 현대화 추진 | 1961 | |
방위산업 육성 | 1970 | ||
율곡사업 추진 | 1974 | ||
예비전력 확보 | 학도군사훈련단(ROTC) 설치 | 1961 | |
향토예비군 창설 | 1968 | ||
민방위대 및 학도호국단 창단 | 1975 |
생포된 북한 무장공비 김신조 1968. 1. 22(왼쪽)
DMZ에서 발견된 북한의 남침용 제2땅굴 1975. 3. 19(오른쪽)
방위산업 육성
1970년대의 우리나라는 급변하는 국제정세와 북한의 위협과 도발에 맞서 방위산업의 육성이 시급한 과제로 대두되었다. 이에 박정희 대통령은 자주국방력 강화를 위해 1970년 8월 6일 국방과학연구소ADD를 설립, 방위산업 육성을 위한 체제를 마련하고 우리 군이 사용하고 있는 무기 가운데 소총 · 기관총 · 지뢰 · 박격포부터 개발할 것을 지시하였다. 대통령의 지시는 주어진 시간이 촉박하였기에 '번개사업'이라 불렀다. 시제품 개발은 완제품 병기를 분해하여 역으로 설계하는 작업으로 진행되었고 수 차례 걸친 시연회와 보완을 거쳐 군에 실전배치되었다. 그 결과 우리나라 방위산업은 1979년까지 고도의 정밀을 요하는 병기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양산단계에 들어갈 정도로 발전하였고 이는 한국군의 현대화에도 기여하였다.
<사진> 국산무기들을 살피고 있는 박정희 대통령 1972. 4. 3(왼쪽)
우리나라에서 생산된 장갑차 1977(오른쪽)
육 · 해 · 공군 방산장비
구분 | 국산 무기 및 장비현황 |
육군 | M-16 소총 생산(1974. 3. 2), 야포(105밀리 · 155밀리 ·8인치)포탄 생산(1974. 9. 30), 81밀리 박격포 생산(1975. 7. 8), 500MD 헬기 생산(1976), 20밀리 발칸포 생산(1977), 다련장 로켓포(구룡) 생산(1978), 155밀리 야포 생산 및 시험발사(1978.4), M-48 계열 국산 전차 생산(1978) |
해군 | 최초 국산 고속정 진수(1972. 11. 18), 유도탄 탑재 고속정 건조(1974. 4. 30), 고속정(PKM) 개발 배치(1978. 5), 최초의 한국형 호위함 진수(1980. 4. 8) |
공군 | 한국형 지대지 미사일(백곰) 개발 발사 성공(1978. 9. 26) |
국산병기 시제품 개발 '번개사업' 추진
구분 | 사업기간 | 국산무기 / 장비개발 |
제1차 번개사업 | 1971. 11~12 | M1 소총, 카빈 소총, 기관총, 60밀리 박격포, 81밀리 박격포, 3.5인치 로켓 발사기, 대인 지뢰, 대전차지뢰 |
제2차 번개사업 | 1972. 1~3 | 유탄발사기, 66밀리 로켓발사기, 탄약 4종 및 신관 |
제3차 번개산업 | 1972. 4~6 | 통신장비와 개인 장구류 국산 병기의 대량생산 수준까지 기술개발 |
- 계속
'박물관, 기념관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정희대통령기념관] 22 (0) | 2021.03.14 |
---|---|
[박정희대통령기념관] 21 (0) | 2021.03.14 |
[박정희대통령기념관] 19 (0) | 2021.03.12 |
[박정희대통령기념관] 18 (0) | 2021.01.18 |
[박정희대통령기념관] 17 (1) | 2021.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