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산 죽미령 평화공원] 10
[오산 죽미령 평화공원] 10
구 초전비를 보고 있는 성기
구(舊) 유엔군 초전기념비
1955년 건립, 540명의 스미스부대원을 상징하는 540개의 돌로 구성된 기념비
舊 유엔군 초전기념비
건립 : 1955년 7월 5일
미 제24사단 장병들에 의하여 건립되었다가 1964년 미 제8군, 제24사단, 육군동지회, 재향군인회 등에서 보수공사를 하였다.
<스미스 특수임무부대 C중대 2소대장이었던
빌 위릭의 1998년 7월 5일 연설문>
전우 여러분, 우리가 이곳 언덕에서 전투를 겪은 지 48년이 되었습니다. 그 당시에 성공하지는 못 했지만 우리는 남한사람들의 자유방어를 위해 파견된 유엔군의 선발대였습니다. 우리의 임무는 서울-대전-대구-부산을 잇는 역사적인 남침경로인 이곳에서 북한군 주력부대의 남하를 지연시키는 것이었습니다.
오래전 오늘, 이곳 전투에서 53명의 전우가 전사하였고, 5명이 아직도 실종상태이며, 남과 북의 전장에서 포로가 되어 말로 형언할 수 없는 상황 속에서 34명이 사망했습니다. ··· (중략) ···
오늘 이곳에는 본인을 비롯한 그 당시의 전우들이 있습니다. 우리가 오래전에 이곳을 다녀간 이후, 한국인들의 발전과정을 보며 경탄하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희생이 한국인들의 자유방어를 위한 주된 역할을 하였음은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
오늘 이곳에 참석하신 한국분들께서 내 전우들을 명예롭게 대해주신 것에 대해 감사드립니다. 1950년 7월 5일의 이곳을 항상 기억하십시오. 여러분과 우리는 혈맹의 형제가 되었습니다.
여러분께서 여러분의 자녀에게 자유의 의미를 설명할 때, 자유는 거저 얻어지는 것이 아니라고 말해주시기 바랍니다.
이 스미스 전투부대 기념비는 1954년 아래 기관과 유지들의 협력으로 보수되었다.
미 제24보병사단 장병 일동, 미 제24보병사단 동지회,
미 제8군 장병 일동, 미 육군 동지회 한국지부,
대한민국 재향군인회, 한국 신문 편집인 협회,
UN군 자유수호 참전기념비 건립위원회
현대건설주식회사
유희훈 씨 백승근 씨
1950년 7월 5일 이 자리에서 미 제24보병사단 소속 제21보병연대 및 제52야포대대 A중대로 구성된 스미스 전투부대 406명의 장병이 미 합중국 군대와 공산침략군 간의 최초의 전투를 개시 했음을 기념하기 위하여 이 비를 세우노라.
스미스 특수임무부대 상징 마크
구舊 유엔군 초전기념비
Old UN Forces First Battle Monument
'구舊'자를 붙여 신新 유엔군 초전비와 구별하여 불린다. 본래 오산 죽미령 전투 당시 보병 B중대 1개 소대가 배치되었던 1번국도 건너편의 99고지에 위치했으나 2019년 평화공원 조성사업의 일환으로 현재 위치로 이전하게 되었다. 기단부는 이전하면서 새롭게 제작한 것이다. 1950년 7월 5일 죽미령 전투 이후인 1955년, 스미스 부대 장병들이 다시 돌아와 전사한 전우들을 기리며 지역의 유지들과 함께 540개의 돌을 쌓아 만들었다. 1990년대까지 오산지역 주민들 사이에서 소위 'UN탑'이라 불렸다.
무장애 데크길에서 바라본 평화공원
오산 죽미령 평화공원은 약 134천㎡에 유엔군 초전기념비와 전시관, 전망대 및 조형시설물과 자연이 어우러져 시민의 편안한 휴식공간으로 조성되어 있으며, 1950년 7월 5일 죽미령전투의 기억과 체험을 통해 우리 미래 세대에게 평화의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죽미령 전망대로 올라가는 무장애 데크길
죽미령 전망대
화성, 수원까지 바라볼 수 있는 반월봉 정상의 죽미령 전망대
스미스 부대의 방어진지 선정
Task Force Smith's Selection of Jukmiryeong as its Line of Defense
개발되기 이전의 죽미령은 경부국도와 경부철로를 직교하는 능선으로 북쪽의 저지대를 한 눈에 바라볼 수 있는 곳이었다. 또한 북방 10km의 수원까지도 관측이 가능해 방어진지로서는 손색이 없는 최적의 지형이었다. 스미스 부대의 방어진지로 평택-안성선도 논의가 되었으나 북한군의 남하를 가능한 한 북쪽에서 지연시키기 위해 오산 죽미령 일대를 선정하였다.
죽미령에 남겨진 전쟁의 상흔
Traces of War Remaining at Jukmiryeong Pass
오산 죽미령 전적지 유해발굴조사
조사대상 : 오산 죽미령 전적지구 일대(4개 지점)
조사기간 : 2017. 4. 10~4. 21
조사기관 : 육군 51사단 169연대 3대대, 국방부 유해발굴팀
출토유물 : 포탄 편, 기름통, 포탄 두, 벨트, 전투화 편 등
평화공원 사업부지 구제 발굴조사
조사대상 : 평화공원 조성 사업부지(18,798㎡)
조사기간 : 시굴조사 2017. 12. 26~2018. 1. 18
발굴조사 2018. 4. 2~2018. 4. 17
조사기관 : (재)한울문화재연구원
출토유물 : 실탄, 탄피
대형 태극기
항구적 통일에 대한 염원을 단고 있다.
- 계속